
의류판매대리점 영업을 하던 점포 임차인이 그 영업을 양도하면서 점포도 넘겨주기로 한 계약이 점포에 대한 전대차계약이 아니라 임차권 양도계약이라고 한 사례
의류판매대리점 영업을 하던 점포 임차인이 그 영업을 양도하면서 점포도 넘겨주기로 한 계약이 영업양도 계약에 부수하여 이루어졌고, 임대차계약서 양식이 아니라 매매계약서 양식을 이용하여 위 계약을 체결하였으며, 양수인과 임차인이 함께 임대인을 찾아가 영업양수인과 새로운 임대차계약을 체결하여 줄 것을 요구하였고, 영업을 양도한 이후 위 점포에 관한 임차권의 권리관계에서 임차인의 지위를 유지시켜야 할 이익을 인정할 수 없다면 양수인과 임차인 사이에서 위 점포를 넘겨주기로 한 계약은 전대차계약이 아니라 임차권의 양도계약이라고 한다. 대법원 2001. 9. 28. 선고 2001다10960 판결

【참조조문】 민법제629조(임차권의 양도, 전대의 제한) ① 임차인은 임대인의 동의없이 그 권리를 양도하거나 임차물을 전대하지 못한다. ② 임차인이 전항의 규정에 위반한 때에는 임대인은 계약을 해지할 수 있다

'채권회수 story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채권의 가압류 및 가처분 [채권추심 신용정보회사 신용조사 기업평가 나이스신용정보] (0) | 2015.07.21 |
---|---|
경매와 공매의 배당 순위[채권추심 신용조사 기업평가 나이스신용정보 신용정보회사] (0) | 2015.07.21 |
손해배상 정함이 없이 하자보수보증금만이 약정된 경우 손해배상[신용정보회사 채권추심 기업평가 재산조사 신용조사 나이스신용정보] (0) | 2015.07.21 |
공사도급계약에서 수급인이 파산선고를 받은 경우 [채권추심 나이스신용정보 신용정보회사 신용조사 기업평가 재산조사] (0) | 2015.07.21 |
2015년 7월 21일 오전 08:49 (0) | 2015.07.21 |